(노파심에 먼저 말씀드리면 이 글의 내용을 따라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어떠한 책임도 질 수 없음을 미리 말씀드리니 판단은 직접 하십시오. 특히 2018년 이후 모델부터는(xxSK~...) 뜯지않고는 안되는 모양이니 따라하지 마세요. 저도 잘 모르니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모든것은 65SJ850A 에서만 해본 경험입니다.)
우리집은 2018년에 직구로 구입한 LG 65SJ850A (더 많이 유통된 동일한 모델명은 65SJ8500) 을 여전히 사용중이다.
안타깝게도 빛샘현상이 이제 눈으로 보이는 등 몇가지 노화된 현상들이 나타나고는 있지만, 다행히 큰 고장 없이 잘 버텨내고 있다.
(중간에 한번 블투 송수신기 리콜로 교체받은 적 뿐?)
처음부터 스카이라이프로 사용하여 TV 시청을 했기 때문에 직구 TV여도 별다른 불편함도 없었고, 부족한 부분은 넷플릭스로 채우면 그만이었다. 더군다나 아내가 LG채널도 미국 채널을 시청하는것이 더 좋겠다 하여 로컬변경을 할 필요성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그러나 OTT가 발전을 거듭하고...(?)
간혹 통신사나 여타 다른 프로모션으로 제공되는 토종 OTT들의 무료 공세에 조금씩 토종OTT들의 사용욕구가 늘어나는 한편, 미국 LG채널의 국내 접속이 차단되는 일이 발생하고야 만 것이다.
결국 미국버전으로 그대로 두어 봐야 쓸모가 아주 없어지는 바람에,
로컬 변경을 2024년, 아주 때늦은 지금에 와서야 해 보기로 한다.
사실 TV구입 초기에 로컬변경 해보겠다고 시리얼케이블을 하나 구매해 두기는 했다만, 안하는 바람에 잡동사니함에 처박혀있었다.
과거에 찾아보았던 글들은 이미 없어지거나 그대로 있기도 하지만 아무튼 내 기억에 남아있지 않았으므로 다시 검색을 거듭한 끝에 몇 가지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서비스 모드에 진입해야 한다. 진입을 위해서는 리모컨(또는 IR송신이 가능한 휴대폰)이 필요하다.
2. 미국 로컬번호를 한국 로컬번호로 바꾸면 된다.
2번은 뭐 1번이 해결되어야 하므로, 1번을 해결해 보고자 고민을 했지만
A) 리모컨을 구입하는데엔 시간이 든다.
B) 돈아깝다.
C) IR송신이 가능한 휴대폰은 현재 내 수중에 없다.
D) 왠지 시리얼케이블로 커맨드를 보내서 진입하는 방법이 있을 것 같다.
위와 같은 문제로, D에 집중하기로 한다.
찾다보면, 서비스메뉴얼 뒤에 시리얼커맨드 프로토콜 문서가 있다. 그러나 아무리 찾아보아도 서비스모드 진입 커맨드를 찾을 수는 없었다.
다시 돌아가서, 조금더 검색을 해봤다.
해외 사이트들 중에는 Menu버튼을 본체와 리모컨에서 동시에 눌러라, OK 버튼을 본체와 리모컨에서 동시에 눌러라 등 많은 방법이 떠돌고 있었지만 그 방법 끝에 '애석하게도 안되는 모델도 존재합니다' 에 해당하는 모양이다.
그러던 와중 아래 깃헙에서 빛을 한 줄기 발견하고야 만 것이다.
https://github.com/needs-coffee/LG-C1-cheat-sheet?tab=readme-ov-file
GitHub - needs-coffee/LG-C1-cheat-sheet: A Cheat sheet for menu items and settings on the LG C1 series of TVs
A Cheat sheet for menu items and settings on the LG C1 series of TVs - needs-coffee/LG-C1-cheat-sheet
github.com
서비스메뉴(InStart) 에 진입하는 방법이 있었는데 리모컨도, IR송신기가 달린 휴대폰도 필요하지 않은 방법이었다.
PC 앱인 ColorControl 이라는 프로그램인데, 왜인지 LG Remote Control 기능이 존재했다. (최신버전으로 깔아보면 알겠지만 샘숭도 되고 여러 제품을 지원하는 것 같다).
TV와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있는 PC로 가능한 방법이다.
어 뭐지...? 하는 마음과 함께 설치하고, Expert에서 찾아보았지만 InStart 가 안보인다.
자세히 다시 읽어보면 option 탭에서 advanced options under the expert button을 설정하란다.
그러나 내가 설치한 버전의 option 탭에 그런 기능은 존재하지 않았다.
깃헙의 작성자도 조금 된 버전을 사용하여 작성한 모양이다.
내가 받은 버전을 보니 4.0.0.0 버전이었다.
ColorControl 의 Release 버전을 보면,
https://github.com/Maassoft/ColorControl/releases
Releases · Maassoft/ColorControl
Easily change NVIDIA display settings and/or control LG TV's - Maassoft/ColorControl
github.com
현재는 9.9.0.1 이 최신이다.
최신버전을 실행하면 상황에 따라 닷넷 런타임도 깔게 되니 살포시 깔아주고 나면,
응 그런거 없음
아놔...
포기하면 편하지만, 좀더 찾아보자.
버전업을 여러 번 거친 끝에, LG Controller 탭의 Settings 버튼을 눌러보면 거기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위 캡쳐는 일(월도)하며 정리한 관계로 TV가 잡혀있지 않지만, TV에 인터넷을 물려놓고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 PC에서 한다면 Device 옆에 TV 이름이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나서 Expert -> EZ Adjust 를 누르면(후일담: InStart인줄 알았는데 거긴 그런거 바꾸는 메뉴가 아니었음),
TV에서 짜잔 하고 서비스메뉴가 나타나는 줄 알겠지만
원격제어를 허용하겠냐고 묻는다고 "한다".
(집에서 PC가 티비가 보이지 않는 방에 있어 PC를 눌렀더니 아내가 이게 뭐냐며 묻는 걸 듣고 알았다)
허용하면, 그리고 다른 글을 보았을 땐 그 메뉴에 들어갈 때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한다고 하던데,
왜인지 위 프로그램으로 접속하면 해당 메뉴로 그냥 진입된다.
(자동으로 비밀번호 값도 쏴주나?)
그 뒤엔 사진이고 뭐고 빨리 해보자는 마음에 잽싸게 수정해봐서 사진도 안 찍었고 뭐 아무것도 없다.
로컬 변경값은 검색하면 많이 나오니 찾아보면 될 일.
값 입력은 가지고있는 리모컨으로도 잘 되었다.
그리고나서 껐다 켜고, 메뉴에서 지역 또한 한국으로 바꾸어 주고 나면.
와아~! 국내 TV가 됩니다.
(TV 새로 산 너낌)
(그동안 못 써봤던 토종 OTT 로 긴밤 지새웠다)
결론
1. 리모컨 구입비용 아낌
2. TV 구입비용 아낌
3. 빨리 해보고싶은 욕구를 충족함
4. 연애남매 재밌다.
5. OLED TV 사긴 글렀다...흐규...